Stinging Statement
Sungseok AHN 

What little thing stings my eye. It is nothing more than a small raindrop. Rain came down normally. I just moved at great speed. Now living in the time and space of the people who have been sacrificed. We are skipping very important things and it seems to be called figures (or consciences).
I got tired of the sting. Ordinary people with brilliant brains use brutal violence. Thinking deeply about why we are always cruel to each other, we thought about the origins of the many problems that surround us as we planned the exhibition "Umbrella and Fan" in 2015.
 It can be a shame of man (conscience), or a feeling of speed (force) that the world feels as a reaction to the rapid rotation of the world. Feel the speed of the world around me, amplify our shame, and determine the pain that passes through me.
You have a long tongue. Way too talkative. What is the next excuse? Originally, people said, "My heart was hairy." It was in the 1960s. The heart was originally in my body and could not get hairy, but the fact that the heart was hairy means that the heart is very thick. There was a saying, "The heart is thick," but if a person does something against his conscience, his heart will be pounded, and his conscience is bad, and if he does not do so, Such a person would have come from a guess that the heart shell is very thick. The words "heart is hairy" have been used to express the "heart is thick" emphasis more realistically, as industrialization has progressed rapidly in the 1960s, and the military regime ignored the principle, As a result, the general atmosphere of the society is "stop when the result is good", so that there is a tendency not to be afraid to break the conscience, so the word "heart is thick" I felt, "I got a hair in my heart." That expression is about conscience, and again, "conscience is hairy". You can not see a person in the landscape that spreads out before your eyes, I'll circle.


따가워 스테이트먼트
안성석

작은 무엇이 내 눈을 따갑게 찌름. 따가운 것은 다름 아닌 작은 빗방울. 비는 평범하게 내렸어. 그저 내가 엄청난 속도로 움직였을 뿐.
처참히 희생된 사람들의 다져놓은 시공간을 살아가는 지금. 우리는 아주 중요한 것을 빼먹고 있어 그것은 아마 수치(혹은 양심)라고 불리는 듯.
따가움에 무뎌졌어. 명석한 두뇌를 가진 평범한 사람들이 잔인한 폭력을 행사하곤 하지. 2015년 우산과 부채라는 전시를 기획하며 생각했던 ‘우리는 왜 항상 서로에게 잔인할까?’에 대해 더 깊게 생각해보며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수많은 문제의 근원이 무엇인지 고민해.
따갑다는 것은 사람이 가진 수치심(양심)일 수도 있으며, 세상이 빠르게 회전하는데 있어서 생긴 반작용으로서 느끼는 속도감(힘)일 수도 있어. 나를 둘러싼 세상의 속도를 느끼며, 우리의 수치심을 증폭시키고, 나를 통해 전달되는 고통이 어떠한지 책정해보자.
혀가 너무 길어. 말이 너무 많아. 또 다음 변명은 무엇인지? 원래에는 "심장에 털이 났다"고 했어. 심장이란 원래 몸속에 있어서 털이 날 수가 없었는데, 그런 심장에 털이 났다고 하는 것은 심장이 매우 두껍다는 뜻. 원래 "
심장이 두껍다"는 말이 있었는데, 사람이 양심에 어긋난 짓을 하면 심장이 두근거려 표가 나게 마련인데, 양심이 불량하여 그렇지 않은 사람은 양심에 어긋난 짓을 하고도 그런 표가 나지 않으므로, 아마 그런 사람은 심장 껍질이 매우 두꺼운 모양이라고 짐작한 데에서 나왔겠지. 그 "심장이 두껍다"는 말을 좀 더 강조하여 실감 있게 표현하려는 데에서 "심장에 털이 났다"는 말이 쓰이게 되었어, 산업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또 군사정권이 원칙 무시하고 무엇이든 불도저식으로 마구 밀어붙이면서,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가 "결과가 좋으면 그만"이라는 식으로 흐르자, 양심을 어기는 것을 별로 꺼려하지 않는 풍조가 만연하게 되고, 그래서 "심장이 두껍다"는 말만 가지고는 표현이 부족하다고 느껴서, "심장에 털이 났다"는 말이 나오게 된 거야. 그 표현이 양심에 관한 것이라, 다시 "양심에 털이 났다"는 말로 바뀐 것이지. 네 눈앞에 펼쳐진 풍경 속에는 사람이 보이지 않나보다, 내가 동그라미 쳐줄게.